Scrum에 대하여
SCRUM을 알아보자
Agile
애자일은 신속한 반복 작업을 통해 실제 작동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
협업과 워크플로우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이며,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만들지에 관한 선택을 안내하는 가치 체계이다.
Agile 프레임 워크 종류
- Scrum
- kanban
- XP(eXtreme Programming)
SCRUM
정의
스크럼 진행 전 사전 절차
비전
애자일은 구성원들이 스스로 결정하여 자유롭게 일한다 구성원의 공통된 목적을 제시하고 일의 우선순위 판단에 근거가 된다.
특징
3~5년 단위의 목적을 의미한다.
시장이나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가능하다.
Elevator Peach
엘리베이터 타고 올라가는 동안에 설명 가능한 짧고 명료한 비전
(업종 / 제품 / 프로젝트 카테고리)
에 해당하는
(업종 / 제품 / 프로젝트 이름)
은/는
(X라는 필요 혹은 X라는 문제)
을/를 지닌
(주요 고객)
에게
(대안적인 해결책이나 경쟁사)
와 달리
(차별성)
을/를 갖고
(핵심 가치)
을/를 제공합니다
로드맵 & 프로덕트 벡로그
로드맵
분기별로, 약 3개 정도씩
비전을 기준으로 1년짜리 목표이자 계획
프로덕트 백로그
로드맵 적은 내용 토대로 할일 목록 적는다.
- 우선순위 별로 정리
- 우선순위가 높은 일은 자세히, 낮은 일은 두루뭉술
- 프로덕트 오너가 프로덕트 백로그의 주인이다.
- 스크럼에서는 유저스토리 형식으로 작성한다.
(프로덕트 오너는 프로덕트 백로그 관리하는게 일이다, 단 결정은 모든 스테이크홀더와 논의를 통해 이루어진다.)
유저스토리
스크럼에서는 백로그를 유저스토리 형식으로 적을 것을 추천한다
고객/ 사용자
은/는
목적/목표
을/를 위해서
필요/욕구
을/를 원한다.
이유
-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도록 유도함
- 원래 하려던 방식말고 더 좋은 방식으로 고민하게 된다.
- 복잡한 기획안을 생략가능하다.
- 애자일에서는 문서보다는 커뮤니케이션임으로
플레닝 포커
스프린트 플래닝 단계에서 수행
모든 팀원이 백로그 하나를 대상으로 각자 작업 일수를 제시한다.
숫자는 작업일수이다. 1/2 1,2,3,5,8 로 피보나치 수열로 구성된다. (일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단 추정일뿐 약속이 아니다. 그러므로 데드라인이 아니다.
릴리즈 플레닝
3개월 할일인 프로덕트 백로그를 작성하고 플레닝 포커까지 끝났다면, 3개월동안 무슨일을 할지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스프린트 단위 결정하기(팀마다 다르지만 2주정도가 많다)
- 각 스프린트별 작업일수 확인하기, 각 스프린트마다 몇일이나 일할수있는지 확인
- 각 스프린트에 프로덕트 백로그에 있는 일을 끼워 넣자
- 단 한개의 할일은 스프린트 내부에서 끝나야된다. 걸쳐저있으면 안된다.
스프린트는 그 기간동안 달리고 한 숨 돌리기 위함이다
스프린트 과정
스프린트는 정해진 기간동안 집중해서 일하는 기간이다. 스프린트 한개를 진행하는 것에는 아래와 같은 일이 진행된다.
스프린트 플래닝
스프린트 첫째날 모든 팀원이 모여진행 프로덕트 백로그를 기준으로 할 일 정한다.
프로덕트 백로그기반으로 스프린트 백로그 생성 이 스프린트 백로그를 기반으로 개발팀이 세부 할 일을 생성
각 할일에 시간을 적어서 우선순위 별로 할일을 만든다.
(스프린트 백로그부터는 전적으로 개발팀이 결정함 주의)
스프린트
2~3주 동안 집중하여 일하는 기간으로 스프린트 플래닝을 기준으로 수행한다.
스크럼마스터가 이 일들을 이끈다.
- 모든 일은 스프린트 기간에 시작하고 끝난다.
- 스프린트는 리뷰와 회로를 통해 이전 스프린트 보다 나아져야한다.
- 스프린트 기간에는 무언가 추가되면 안된다. 추가할거면 다음 스프린트에 넣자
데일리 스크럼(데일리 스탠드업)
스프린트 진행되는 매일한다.(플레닝, 리뷰날 제외)
사무실 한켠에서 일어나서 진행해도된다.(15분 내에끝낸다)
주의할점은 내 일을 보고하는게 아니다. 각자의 상황을 파악해 도움을 주고받기 위함이다.
프로덕트 백로그 다듬기(grooming)
프로덕트 오너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언제든 가능, 팀마다 다르다.
다 같이(모든 스테이크 홀더가) 모여서 프로덕트 백로그를 보며 수행
프로덕트 인크리먼트
스프린트 리뷰& 회고
-
하루 리뷰, 하루 회고 함을 추천
-
스프린트 1주면 리뷰 1시간, 회고 1시간 하는게 좋다
리뷰
-
고객, 회사 의사결정권자중 스테이크 홀더 모두 모인다.
-
우리가 완료한 일 그 자체만 이야기
-
간단하게 다음 스프린트 어떤일 할지 이야기 하면 끝
회고
- 다른 관계자 뺴고 팀끼리만 수행
구성원
프로덕트 오너
-
- 프로덕트 백로그 개발
- 팀이 3개월동안 해야 할 일의 목록을 유저스토리 형식으로 작성
- MVP의 기준
- 릴리즈 플래닝 : 프로덕트 백로그 별 데드라인 큰 틀로 잡아둠
개발팀
-
- 스프린트 플래닝
- 스프린트 플래닝 포커카드 이용
- 릴리즈 플래닝
스크럼 마스터
- 스크럼을 관리한다.